'centOS'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14.05.20 [리눅스] boot process
  2. 2014.03.26 [Linux] daemon 설명 및 정리
  3. 2014.02.07 [Linux] yum repository 구성하기

booting 과정을 통해 OFF 되어 있는 서버를 유용한 operating system으로 사용가능

사람의 수명주기와 유사하다고 생각할수 있다

출생 - 신생아  - 유아기 - 아동기 -  청소년 - 성인 


1. 출생 

전원이 ON 되면서 서버에 전원 공급 시작


2. 신생아

비 휘발성 메모리(ROM)에 저장되어 있는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프로그램이 부팅

크게 2가지 역할 수행

1) POST(Power On Self Test) 기능 : 장치 인식 후 이상유무 체크 및 하드웨어 초기화

2) POST과정 완료 후 시스템 부팅 제어권을 Boot Loader(GRUB/LILO)에 넘겨주고 BIOS 종료(GRUB/LILO)

* Boot Loader(boot 파티션의 MBR 영역에 설치 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커널을 로드하는 역할)

 

3. 유아기

1) Boot Loader 실행

GRUB은 실행과 함께 부팅 메뉴(커널) 선택 /boot/grub/grub.conf

선택한 커널 이미지 로드 /boot/vmlinuz.2.6.32.x ~

시스템 제어권을 커널에 넘겨줌


4. 청소년

1) Linux 커널을 초기화하고 메모리에 로딩(Device driver가 로드되고 초기화)

2) swapper Process 호출(커널 이미지 압축해제/POST 하였던 장치드라이브 초기화)

Swapper는 PID 0를 가지고 있으며 init 프로세스 PID 1 을 실행하고 종료(부팅 시 잠시 실행되었다가 종료)


5. 성인

1) Init 프로세스의 실행

/etc/inittab 설정 파일을 읽으면서 실행

/etc/inittab : 스크립트 규칙을 가지고 정의된파일, 스크립트는 한 줄에 하나의 명령을 정의 

다음과 같은 형식을 지님 = id : runlevel : action : process

2) booting Level 결정 : id:3:initdefault:

2) /etc/rc.d/rc/sysinit 스크립트 실행 : si::sysinit:/etc/rc.d/rc.sysinit

3) 해당 run_level 맞는 /etc/rc.d/rc#.d/ 아래의 스크립트 실행

4) /etc/rc.d/rc.local 파일 실행



'리눅스-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fuser  (0) 2014.05.22
[Linux] automount  (0) 2014.05.20
[리눅스] cron  (0) 2014.04.01
[리눅스] lvm.conf filter  (0) 2014.03.27
[Linux] daemon 설명 및 정리  (0) 2014.03.26
Posted by 뭉탁거림
,

daemon 설명 및 정리 CentOS 6.3 기준으로 데몬정리...

Deafult로 ON 되어있는 데몬들은 off !

최소 굵게 밑줄 친 데몬들만 Enable 시키면 데몬 정리 끝..


abrt-ccpp : The ABRT service that provides the C/C++ problems analyzer 

abrt-oops : The ABRT service that provides the kernel oopses analyzer

abrtd : The ABRT daemon which runs under root as a background service

acpid : ACPI(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 방식의 시스템 전력 관리를 위한 데몬

atd : at 작업스케줄러 데몬(일시적)

auditd : 리눅스 감사(감시) 데몬? /etc/audit/ 디렉토리 참고

autofs : 자동마운트 데몬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NetworkManager :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한 데몬, bonding 구성 시 충돌날수 있으므로 off 시켜주자

anacron : cron과 유사, 시스템이 꺼져있을 경우 수행되지 못한 작업 확인 및 수행

certmonger : The certmonger daemon, together with its command line clients, attempts to simplify the process of generating public/private key pairs and Certificate Signing Requests (CSRs), and submitting CSRs to Certificate Authorities (CAs) for signing.

cgconfig

cgred

cpuspeed : 전력 소모량을 기반으로 cpu 스피드를 조절하는 데몬

crond : 작업스케쥴러 cron 데몬

cups : 리눅스 기본 출력 시스템인 CPUS 데몬(프린트)

haldaemon : 장치를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해 필요한 HAL 데몬

ip6tables : IPv6 통신을 위한 방화벽 서비스

iptables : 리눅스 소프트웨어의 표준 방화벽 서비스

irqbalance : 멀티프로세서(둘이상의 CPU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CPU간의 인터럽트를 분리하기 위한데몬

kdump : kernel crash 가 일어났을 때 메모리 덤프를 해주는 데몬

lvm2-monitor : dmeventd(The Linux Kernel Device Mapper)를 사용하는 LVS(Linux Logical Volume Management)를 모니터링 하는 서비스 데몬 

mcelogd :

mdmonitor : RAID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몬

messagebus : 시스템 메세지를 전송하기 위한 데몬

netconsole : 

netfs : 삼바, NFS, NCP 등 네트워크 파일시스템을 마운트 하기 위한 데몬

network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을 시스템 부팅시 커널에 적재시키는 데몬

nfs : 유닉스와 리눅스의 기본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NFS 데몬

nfslock : NFS를 통해 공유되는 파일을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수정하는 것을 막기 위해 파일을 잠그는 데몬

  ( NFS 사용시 필요 )

ntpd : 네트워크를 통해 리눅스 서버의 시간정보를 동기화 하기 위한 네트워크 Time Protocol 데몬

ntpdate : ntp서버에 접속해서 값을 받아서 시스템에 설정하는 데몬

numad : The numad package provides a daemon for NUMA (Non-Uniform Memory Architecture) systems, that monitors NUMA characteristics

oddjobd : 

portreserve : reserve ports to prevent portmap mapping them

postfix : SMTP service daemon

psacct : 프로세스 통계를 확인하기 위한 psacct 데몬

quota_nld

rdisc

restorecond

rngd

rpcbind : 시스템에서 RPC 서비스를 관리

rpcgssd : 원격 인증을 위한 GSS(General Security Service) 데몬, NFS version 4 클라이언트를 위해 필요
rpcidmapd : 원격 이름 매핑을 위한 idmap(IDmapping) 데몬, NFS version 4를 위해 필요
rpcsvcgssd : 원격 인증을 위한 GSS(General Security Service) 데몬, NFS version 4 서버를 위해 필요

rsyslog : syslog 서비스 제공

saslauthd

smartd

sshd : ssh 서버 데몬

sssd : system security services daemon, 원격 디렉토리 접근과 인증을 관리하는 데몬

sysstat : 자원감시 도구

udev-post

ypbind : NIS/YP 클라이언트 측에서 실행시키는 데몬으로, 그외 시스템에서는 실행시키지 않는다


microcode_ctl

avahi-daemon : 네트워크 서비스를 인식하는 멀리캐스트 DNS 서비스 Avahi 데몬

avahi-dnsconfd : DNS 재설정 기능을 위한 데몬

bluetooth : 블루투스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데몬

capi : Comman ISD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Standard)

conman : 콘솔 관리 지원 서비스. 다수의 콘솔 장치와 동시 접속자에 대한 서비스 기능을 지님

dnsmasq : 리눅스용 Local DNS Cache Server - DNS 쿼리를 임시저장하여 DNS 서버의 부하 줄임

dund : 블루투스 관련 데몬 dund는 Dial-Up-Networking Daemon의 약자 -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면 OFF

firstboot : 초기 설정 유틸리티 스크립트로 설치 진행 후에 처음으로 부팅시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데몬

gpm : 콘솔 환경에서 마우스 지원을 위해 필요한 데몬

hidd :블루투스 관련 서비스로서 키보드나 마우스등의 입력장치 지원을 제공 -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면 OFF

hplip

httpd : http 웹 서버 데몬

irda

iscsi : ip 기반의 스토리지 프로토콜

iscsid : iscsi 데몬 

portmap : 원격시스템 호출에 사용하는 데몬 (NFS, NIS에 이용)

rawdevices 

readahead_early/readahead_later : 시동시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응용프로그램을 메모리에 할당하는 서비스.빠른 부팅을 위한다면 enable

sendmail

syslog : 시스템 로그를 관리하기 위한 데몬

tcsd

wdaemon

winbind

wpa_supplicant

xfs

yum-updatesd : 온라인 패키지 관리도구인 yum 에 관련된 프로그램 업데이트 데몬


'리눅스-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cron  (0) 2014.04.01
[리눅스] lvm.conf filter  (0) 2014.03.27
[리눅스] TCP Wrapper  (0) 2014.03.21
[리눅스] createrepo를 통한 yum repository 구성  (0) 2014.03.13
[리눅스] 리눅스 램디스크 tmpfs  (0) 2014.03.12
Posted by 뭉탁거림
,

Yum repository 서버를 구성하는 방법

 

1. 구성방법

1) yum server에 계정을 생성 후 Home Directory에 필요한 rpm File을 복사

2) yum server는 Local로 Yum Repository를 구성

3) yum repository의 Client는 Server에 Anonymous FTP를 통해 해당 RPM 파일을 가져오는 구조


2. 작업 절차


(1) group, user 생성

groupadd -g 501 yumFile

useradd -g 501 -u 501 -d /home/yumFile yumFile

chwon root:root /home/yumFile

chmod 755 /home/yumFile

user의 Home Directory의 소유자와 그룹을 변경

(user의 Default 소유자와 그룹으로 두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뜨므로 root/root로 변경합니다.

500 OOPS: vsftpd: refusing to run with writable anonymous root)


(2) rpm File Copy

cd /mnt/Package

cp -r * /home/yumFile

cp -r repodata/ /home/yumfile/

 

필요한 rpm 파일을 yumfile User의 Home Directory로 복사

 

(3) 로컬 Yum Repository 구성

[root@localhost ~]# cd /etc/yum.repos.d/


yum.repos.d 디렉토리에 local.repo 추가

 

local.repo 내용

[local]

name=local

baseurl=file:///home/yumfile

enabled=1

gpgcheck=0

 

/home/yumfile 폴더를 기본 폴더로 설정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 줍니다.

 

yum 초기화

[root@localhost yum.repos.d]# yum clean all

Loaded plugins: rhnplugin, security

Cleaning up Everything

[root@localhost yum.repos.d]# yum list

[root@localhost yum.repos.d]# yum repolist


yum.repos.d 디렉토리에 추가한 repository 목록 나옴



(4) FTP 설정

1) vsftp 설치

yum -y install vsftpd

 

2) chkconfig 수정

vsftpd 데몬 활성화를 위한 chkconfig를 수정

[root@localhost yum.repos.d]# chkconfig vsftpd on

 

3) vsftp configuration 수정

anonymous Ftp가 가능하도록 홈디렉토리를 수정

 

anonymous_enable=YES

ftp_username=yumfile

anonymous_enable : anonymous FTP가 가능 유무 설정

ftp_username : ftp가 사용할 default user를 설정합니다.

                      (Anonymous 붙을때 Default 사양하는 유저를 의미합니다.)

 

vsftpd 서비스를 기동합니다.

[root@localhost yum.repos.d]# service vsftpd start

vsftpd에 대한 vsftpd을 시작 중:                            [  OK  ]

 

4) 방화벽 open

/etc/sysconfig/iptables에 20번과 21번의 tcp port를 열어줍니다.

(아래 내용 추가)

-A RH-Firewall-1-INPUT -m state --state NEW -m tcp -p tcp --dport 20 -j ACCEPT

-A RH-Firewall-1-INPUT -m state --state NEW -m tcp -p tcp --dport 21 -j ACCEPT

 

방화벽 내용 저장

[root@Linux2 yum.repos.d]# service iptables save

방화벽 규칙을 /etc/sysconfig/iptables에 저장 중:           [  OK  ]

 

방화벽 서비스를 재기동 합니다.

service iptables restart

 

5) Anonymous FTP 연결 테스트

[root@Linux2 var]# ftp 192.168.2.130

Connected to 192.168.2.130.

220 (vsFTPd 2.0.5)

530 Please login with USER and PASS.

530 Please login with USER and PASS.

KERBEROS_V4 rejected as an authentication type

Name (192.168.2.130:root): anonymous

331 Please specify the password.

Password:

230 Login successful.

Remote system type is UNIX.

Using binary mode to transfer files.

5) Client의 Yum Repository 구성

[ftp]

name=ftp

baseurl=ftp://192.168.2.130

enabled=1

gpgcheck=0

 

c참고 <http://rockball.tistory.com/156>

 

'리눅스-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dmsetup 와 dm-x 장치  (0) 2014.02.27
[Linux] dumpe2fs, tune2fs, fsck  (0) 2014.02.27
SSH 활용 sshpass  (0) 2014.02.06
[Linux] 파일입출력 정리 3 sed, awk  (0) 2014.01.24
[Linux] 파일입출력 정리 2 (sort)  (0) 2014.01.24
Posted by 뭉탁거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