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f-server 를 통한 인프라 자동화 환경을 구축하여 cloud 인프라 구축에 시간 단축과 각 node의 손쉬운 관리가 가능해졌다고 생각하네요.
그런데..chef를 이외에도 더 많은 인프라 자동화 소프트웨어를 다루어 보기 위해 Razor에 대해 공부하고 정리하려고 합니다.
웹에서도 충분히 chef와 ppupet 및 razor에 대한 차이점과 장단점은 잘나와있으니... 개인적으로 필요할 경우 정리하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
이번 장에서는 razor에 대한 기본 개념...에 대해 정리!
razor에 대해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
서버가 PXE 부팅을 하게되면 내부 dhcp 서버는 razor 서버를 next-server로 가르키게 되고 TFTP를 통해 micro kernel을 이용하여 baremetal 및 virtual 인프라의 프로비저닝 할 node를 등록한 이후 razor 서버에 설정 된 tag와 policy, model에 맞게 프로비저닝하는 소프트웨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 micro kernel : 최소 메모리로 부팅할수 있는 커널로 부팅 이후 physical or virtual 한 서버의 모든 정보를 수집하여 razor 서버에 전달하는 역할(cpu, version, vendor, NIC, Disk 정보 등등)
2. tag
razor 서버에는 tag rule이라는 것이 있으며 rule에 맞게 razor 서버에 등록된 node에 tag를 적용할 수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tag라고 생각하면 편함...
예를 들어 HP 10대, CISCO 10대, DELL 10대 OS를 설치할 30개의 서버가 있다고 가정 할때..HP 서버에는 우분투를 설치, CISCO 서버에는 Xen을 Dell서버에는 vSphere를 설치할 경우 razor 서버에 tag를 생성하고 vendor 종류에 따라 matcher를 적용할수 있다.
3. policy
razor에 policy는 위에서 node에 적용된 tag에 기반하여 matching 된 model을 적용하는 규칙이다
policy는 위에서 생성된 tag를 바탕으로 model에 matching 된 tag를 찾으며 해당 node를 active model로 변경
4. model
os image , password , hostname 등등
템플릿이라고 생각하면 될지 모르겠다... 각 OS라고 해서 OS Configuration 같진 않으니 model 요구사항에 맞게 coustomized 되서 여러가지가 존재할수도..
5. broker
chef, puppet 플러그인?
'나만의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ef] chef 서버가 IP가 변경 시 (0) | 2014.02.13 |
---|---|
[chef] knife를 이용한 ssh 명령어 내리기 (0) | 2014.02.04 |
[펌]CloudStack 시스템 VM (0) | 2013.10.24 |
[Xenserver] Xenserver의 구조 (0) | 2013.10.21 |
Xen 명령어 정리 (0) | 2013.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