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의 종류에는 크게 2가지가 존재 

1. 전가상화 Fullvirutaliztion 

대부분의 하이퍼바이저가 전가상화를 지원

전가상화의 경우 H/W Layer 단 Full 가상화시켜 모든 H/W 엑세스 명령을 하이퍼 바이저를 통해 진행

때문에 Dom0(Mgmt) 모두 거치기 때문에 반가상화의 비해 낮은 퍼포먼스를 나타냄

장점으로는 전가상화의 경우 각 Host위에 올라가는 Guest VM 즉 Guest OS의 특별한 수정없이 사용 가능

리눅스 및 윈도우의 특별한 커널 단 수정없이 사용가능 


2. 반가상화 Paravirtualization   

Xen의 경우 전가상화 반가상화 모두를 지원하기 때문에 장점이 있음

전가상화와는 다르게 Dom0(Mgnt)를 통해 H/W에 엑세스하지 않고 직접 하이퍼바이저에 Hypercall 이용하여 전가상화에 비해 높은 성능을 보임

하지만 Guest OS의 수정이 필요

리눅스의 경우 Xen 버전의 커널이 존재, 윈도우의 경우 PV_Driver 설치



'나만의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CloudStack 시스템 VM  (0) 2013.10.24
[Xenserver] Xenserver의 구조  (0) 2013.10.21
Xen 명령어 정리  (0) 2013.10.18
XenServer Licensing  (0) 2013.10.14
[Xenserver] Primary storage 구성  (0) 2013.09.16
Posted by 뭉탁거림
,

mod_python

공부하는 Study 2013. 10. 14. 16:44
apache + mod_python 설정법

Apache 2.0 이상이라면 mod_python 버전 3이상을, Apache1.3 이라면 mod_python 버전 2를 다운 받는다.
1. python-devel
설치 되어 있어야만 mod_python 설치가 정상적으로 진행된다.
# rpm -qa | grep python-devel
# yum install python-devel
2. setuptools
python 패키지 관리자. 
# rpm -qa | grep python-devel
# yum install python-setuptools

3. Database
sqlite/mysql/postgresql 등을 지원한다

4. mod_python 설치.
다운로드 : http://www.modpython.org/

# tar zxvf mod_python-3.3.1.tgz

# cd mod_python-3.3.1
# ./configure --with-apxs=/usr/local/web/apache/bin/apxs --with-python=/usr/bin/python
# make
# make install
 

make 시 mod_python-3.3.1/src/connobject.c 부분에서 에러 시
mod_python-3.3.1/src/connobject.c 를 열어
while ((bytes_read < len || len == 0) &&
           !(b == APR_BRIGADE_SENTINEL(bb) ||
             APR_BUCKET_IS_EOS(b) || APR_BUCKET_IS_FLUSH(b))) {

#tar -xvzf mod_python-3.3.1.tgz

#cd mod_python-3.3.1

#configure --with-apxs=/usr/local/apache/bin/apxs --with-python=/usr/local/python2.7

#make

make 에서 에러가 난다.

src/connobject.c 에 문제가 있다면서 에러를 낸다.

 

#vi src/connobject.c

내용중에

while((bytes_read<len ||len == 0)&&

          !(b==APR_BRIGADE_SENTINEL(b)||

            APR_BUCKET_IS_EOS(b) || APR_BUCKET_IS_FLUSH(b))) {

부분을

while((bytes_read<len ||len == 0)&&

          !(b==APR_BRIGADE_SENTINEL(bb)||

            APR_BUCKET_IS_EOS(b) || APR_BUCKET_IS_FLUSH(b))) {

수정한후 저장하고 다시 make

#make

#make install

 


 

mod_python 설정

#vi /usr/local/apache/conf/httpd.conf

LoadModule python_module /usr/local/apache/modules/mod_python.so

*다른 자료를 보니 전체경로가 아닌 modules/mod_python.so 이렇게만 써줘도 될듯하다.

 

<Directory "/var/www/html">

    AddHandler mod_python .py .pl cgi_script

    PythonHandler mod_python.cgihandler | .py

    PythonHandler mod_python.publisher

    PythonDebug On

</Directory>

을 추가해주고 저장

 


'공부하는 Stud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blimeText3 package control 관련  (0) 2015.06.10
RHCSA 준비 #2  (0) 2014.05.21
[리눅스] RHCSA 정리 EX200  (0) 2014.05.20
RHCSA 준비  (0) 2013.10.21
[python] 파이썬 Start  (0) 2013.10.12
Posted by 뭉탁거림
,

XenServer Licensing

나만의 Cloud 2013. 10. 14. 13:05

Xenserver의 license key .xslic 확장자로 

1) XenCenter에서의 license file 을 적용하는 방법

2) xe command line (xe host-license-add) command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질문) Xenserver의 license expired 되는 경우

Running 중인 VM은 해당 Xenserver host가 shot-down 되지 않는 이상 운용에서는 큰 이상은 없다

하지만 새로운 VM Deploy는 불가능하며 또한 장애나 power 문제로 인해 system이 재시작 될 경우 정상적으로 Guest VM이 올라오지 않을수 있다 


'나만의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CloudStack 시스템 VM  (0) 2013.10.24
[Xenserver] Xenserver의 구조  (0) 2013.10.21
Xen 명령어 정리  (0) 2013.10.18
반가상화 전가상화  (0) 2013.10.18
[Xenserver] Primary storage 구성  (0) 2013.09.16
Posted by 뭉탁거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