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의 사전적인 뜻은 고대신화 속의 동굴에 살던 큼 뱀이라고 한다.

그래서 인지 아이콘의 모양도 이제야 뱀처럼 보이는 구나.. 

구글에서 만들어진 소프트웨어의 대부분이 파이썬으로 만들어졌다는데 충분히 배울 가치가 있따고 판단하고 개발 공부를 해볼 생각이다.


https://wikidocs.net/

점프 to Python 강의를 참고하여 나만의 자료를 만들어 볼생각이다,


간단하게 목차나 Python을 둘러보았는데.. 학교 다닐적 코딩이라는게 싫었던 이유 중 하나가 사람이 컴퓨터처럼 생각하고 프로그램을만드는 것에 매력을 못느꼈는데.. 글쓴이가 말했듯이 파이썬은 참 인간다운 언어라고 한다.. 내가 공부하고 배우는데 있어 하나의 동기가 되지 않을까 싶다


프로그램을 모르더라도 직관적으로 무엇을 뜻하는지 알 수 있는 언어,,, 가장 큰 매력이다.


'공부하는 Stud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blimeText3 package control 관련  (0) 2015.06.10
RHCSA 준비 #2  (0) 2014.05.21
[리눅스] RHCSA 정리 EX200  (0) 2014.05.20
RHCSA 준비  (0) 2013.10.21
mod_python  (0) 2013.10.14
Posted by 뭉탁거림
,

1. mysql 소스 설치 

wget http://dev.mysql.com/get/Downloads/MySQL-5.1/mysql-5.1.72.tar.gz/from/http://cdn.mysql.com/

소스파일로 된 패키지를 설치하실 때 기본적으로 내리는 3가지 명령어
configure : 환경설정 및 옵션

make : 소스 컴파일(소스파일을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파일로 생성 즉  설치파일이 생성된 상태)

make install 은 설치를 하는 과정입니다. 앞 과정에서 생성된 설치파일을 실행해서 설치를 끝내는 과정입니다.

./configure \ 

--prefix=/usr/local/mysql\  : 설치될 위치지정

 --with-charset=euckr\ : 문자설정

 --localstatedir=/usr/local/mysql/data 폴더 경로


에러:checking for termcap functions library... configure:errorNo curses/termcap library found (termcap 라이브러리를 찾을수 없어서 에러가 발생)

yum install libtermcap-devel

configure 하신 다음에 make 에서 오류 발생 시 추가로 g++ 등을 설치했을 때

make clean / make distclean 정리하고 다시 configure 실행


(2) MySQL 초기화 과정
  # /usr/local/mysql/bin/mysql_install_db  // MySQL DB의 user 테이블 생성
 
  # groupadd mysql
  # useradd -g mysql mysql

  # chown -R root /usr/local/mysql
  # chown -R mysql /usr/local/mysql/data
  # chgrp -R mysql /usr/local/mysql

  # /usr/local/mysql/bin/mysqld_safe &
  # ps -ef | grep mysqld

  # echo "/usr/local/mysql/bin/mysqld_safe &" >> /etc/rc.local
      // 시스템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지정
  # vi /root/.bash_profile
    /usr/local/mysql/bin
  # cd ~
  # . ./.bash_profile

  # vi /etc/ld.so.conf
    /usr/local/mysql/lib/mysql  // mysql 데몬이 라이브러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경로 지정
  # ldconfig     // 라이브러리 등록 후 활성화
  # cp /usr/local/mysql/share/mysql/my-medium.cnf /etc/my.cnf



'리눅스-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partprobe 파티션 재인식  (0) 2013.10.28
리눅스 환경변수 설정  (0) 2013.10.21
[리눅스] yum 명령어  (0) 2013.09.27
[리눅스] 기초개념  (0) 2013.09.26
[Linux] SUDO 명령  (0) 2013.09.16
Posted by 뭉탁거림
,

yum 에 대한 개념과 지식습득을 하였다면 이번엔... 자주 쓰는 명령어 정리


yum list all : 모든 패키지들과 이미 설치 되어있는 패키지목록 출력

yum list installed [패키지명] : 특정 패키지 설치 여부 확인

yum install [패키지명] : 패키지 설치

yum remove [패키지명] : 패키지 삭제

yum search [패키지명] : 패키지 검색

yum info [패키지명] : 패키지 정보 확인

yum clean : yum 캐쉬데이터 클린

yum repolist : yum 레파지토리 목록 보여줌

'리눅스-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환경변수 설정  (0) 2013.10.21
Mysql 소스컴파일 설치  (0) 2013.10.09
[리눅스] 기초개념  (0) 2013.09.26
[Linux] SUDO 명령  (0) 2013.09.16
[Linux] RPM, YUM 이란?  (0) 2013.09.13
Posted by 뭉탁거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