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를 물리적 배치를 통한 LAN 구성의 한계를 넘어서 논리적으로 LAN을 구성할수 있는 기술이다.
1. 네트워크를 나누므로써 보안상의 문제를 해결
2. 추가 LAN 구성을 장비의 추가 없이 구축가능
3. 관리자의 네트워크 작업이 용이
4. 각기 다른 VLAN은 브로드케스팅 패킷을 버리고 전송하지 않으므로 트래픽을 분리하고 불필요한 트래픽을 줄일수 있다
요약하자만 4가지의 장점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Trunking(트렁킹)
다른 VLAN이 통신 할수 있는 라인으로 VLAN 이 N개 일때 스위치간 링크는 N개여야합니다. Trunking 은 VLAN 이 N개 여도 하나의 통합 링크를 통해서 패킷을 보내는 방식입니다. 하나의 통합 링크를 통해 보내므로 각 패킷이 포함된 VLAN 정보를 알수 없습니다. 그래서 패킷에 자신의 VLAN 정보를 넣어 보내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렇게 자신의 VLAN 정보를 붙여 보내는것을 Tagging 이라고 합니다.

여러 대의 스위치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에서 VLAN을 사용할 때 스위치는 서로 VLAN 정보를 주고 받아야합니다. 스위치간 연결된 포트간 세크먼트를 VLAN Trunking을 사용하여 해결합니다. VLAN Trunking이 만들어지면 스위치는 VLAN Tagging 이라는 과정을 이용하여 VLAN 정보를 교환합니다.
즉, 다시말해 스위치하나가 아닌 서로 다른 스위치의 장비를 같은 VLAN 으로 묶고 싶을 때 VLAN 정보를 스위치간에 공유해야되는데 이 VLAN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Trunking 이고 Tagging 이란 과정을 이용해 교환하는 규칙이 VTP(VLAN Trunking Protocol) 입니다.
만일 Trunking 이 지원되지 않는다면 스위치에 만들어진 VLAN의 개수만큼 스위치끼리 링크가 필요할 것입니다.
Tagging
VLAN ID는 트렁킹 프로토콜에서 VLAN을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이렇게 VLAN에 ID를 붙여서 구분하는 방법을 프레임 태깅(Frame Tagging) 이라고 합니다. ethernet 에서 사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프레임 태깅 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즉, 패킷에 VLAN ID를 붙여 이 패킷이 어떤 VLAN 에 포함되있는지 구분하여 받을지 말지를 결정하는 역활을 합니다.
예를들어 2개의 스위치가 있고 1번 스위치의 VLAN 10번의 장비가 2번 스위치의 VLAN 10번에게 패킷을 보낼때 1번 스위치의 장비는 패킷에 VLAN 10 번 이라는 Tag를 달아 2번 스위치에게 보내주게 됩니다. 2번 스위치는 이를 받아 풀어보면(untag) 이 패킷이 VLAN 10번에서온 패킷이라는 것을 알고 자신의 VLAN 10에 포함된 장비에게 이 패킷을 보냅니다. 다른 VLAN 에게는 이 패킷을 보내지 않습니다. Tag는 패킷이 어떤 VLAN에서 보내졌는지 알기위한 수단으로 사용합니다.
[출처] http://onecellboy.tistory.com/278